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TSMC 2024년 3분기 '어닝 서프라이즈' 실적 분석 - AI 반도체 시장 강자

by 육아전문가! 2024. 10. 19.
반응형

 

세계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1위 기업인 대만 TSMC가 2024년 3분기에 예상보다 훨씬 뛰어난 성적을 내며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했습니다. 이번 실적은 AI 반도체 수요의 급증과 TSMC의 첨단 기술력 덕분에 가능했는데요, 특히 AI 가속기와 고성능 컴퓨팅(HPC) 분야에서 큰 성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TSMC의 실적 발표 내용과 이에 따른 반도체 시장 흐름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TSMC의 3분기 실적 요약: AI 반도체 시장의 강력한 수요

TSMC는 2024년 3분기 매출 235억 400만 달러(약 32조 1,580억 원), 영업이익 111억 6,200만 달러(약 15조 2,730억 원)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이 36.5% 증가하고, 영업이익이 무려 58.2% 상승한 수치입니다. 이러한 깜짝 실적은 AI 가속기 등 고성능 컴퓨팅(HPC) 시장의 폭발적인 성장에 힘입은 것으로 분석됩니다. 현재 TSMC의 매출의 절반 이상이 AI 관련 반도체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이는 TSMC의 기술력이 시장에서 더욱 공고해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특히 TSMC의 영업이익률이 57.8%로, 당초 목표였던 55.5%를 상회하며 시장의 예상을 뛰어넘는 성과를 기록했습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AI 수요의 폭발로 인해 TSMC의 주요 고객사인 엔비디아와 같은 기업들이 큰 혜택을 보고 있으며, 이는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2. TSMC의 경쟁력: 첨단 공정과 가격 전략

TSMC는 3나노미터(나노미터: 10억 분의 1미터)급 공정에서 뛰어난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첨단 공정은 웨이퍼의 회로도가 작아짐에 따라 가격이 인상되는 경향이 있는데, TSMC는 이 점을 효과적으로 활용해 매출을 크게 증가시켰습니다. 특히 2세대 3나노 공정에서 경쟁력을 강화하여, 매출의 20%를 차지하고 있는 첨단 공정 기술이 빅테크 고객사들에게 큰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TSMC는 2025년부터 본격 양산에 들어갈 2나노 공정에서도 가격을 추가로 인상할 예정입니다. 이러한 전략을 통해 TSMC는 전 세계 반도체 제조 시장에서 압도적인 입지를 다지고 있으며, 삼성전자와 인텔 같은 경쟁사들을 크게 앞서가고 있습니다.

3. 해외 투자 및 설비 증설: 글로벌 확장

반응형

TSMC는 미국 애리조나, 독일 드레스덴 등 해외 공장 확장과 설비 증설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애리조나 공장에 650억 달러(약 89조 원), 드레스덴 공장에 109억 달러(약 14조 9,300억 원)를 투자해 글로벌 반도체 수요에 대응하고 있으며, 미국과 유럽에서도 중요한 전략적 입지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또한 올해 TSMC의 설비 관련 투자 규모는 300억 달러(약 41조 1,000억 원)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됩니다.

4. 빅테크의 TSMC 의존과 경쟁사의 도전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은 TSMC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애플, 엔비디아, 퀄컴, AMD 등 주요 고객사들이 TSMC의 3~4나노 공정을 이용하고 있으며, 인텔조차도 AI PC용 칩 생산에 TSMC를 선택했습니다. 하지만 TSMC 의존도가 너무 높아지면서 일부 빅테크 기업들은 리스크 분산을 위해 다른 파운드리와 협력 방안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특히 엔비디아와 TSMC 간의 협력 관계에 미세한 균열이 생기고 있다는 소식도 있습니다. 엔비디아의 차세대 AI 가속기 ‘블랙웰’ 양산 과정에서 발생한 결함으로 인해 양측이 책임을 두고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는 점이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이러한 상황을 감안해 엔비디아는 게임용 칩을 삼성전자에 맡기는 방안을 고려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5. AI 반도체 시장에서 TSMC의 독주

TSMC는 AI 반도체 시장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점하고 있으며, 3분기 실적은 그들의 기술력과 시장 장악력을 잘 보여줍니다. 앞으로도 AI 수요가 지속될 것으로 보이며, TSMC는 기술력과 설비 투자를 바탕으로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됩니다. 하지만 빅테크 기업들의 TSMC 의존도 조절 움직임은 향후 반도체 시장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어, 계속해서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반응형

loading